• 전공소개
    • 전공소개
      • 영화영상이론
      • OTT·콘텐츠기획/정책/비즈니스
      • 영화영상제작
    • 교과소개
      • 영화영상이론
      • OTT·콘텐츠기획/정책/비즈니스
      • 영화영상제작
    • 교수소개
    • Contact Us
  • 성과 및 진출
    • 극장 개봉작
    • 영화제 진출 실적
    • 졸업생 진출
  • 학사안내
    • 학사가이드
    • 학사일정
    • 장학제도
    • 학사운영
    • 학사FAQ
  • 시설 및 기자재
    • 시설
    • 기자재
  • 관련사이트

교수 소개

교수

장성갑 교수

전공분야: 미디어아트 영상기술, 특수효과기술
이메일: makefilm@cau.ac.kr

자세히 보기


학력
  •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1988)
  •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정보제어전공(1990)
  •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박사 영상정보전공(2000)
경력
  • 중국청도과기대학 객원교수 (2018~2021)
  • 중국전매대학교 예술학부 객원교수 (2015~2018)
  • 한국연구재단 문화융복합단 전문위원 (2014~2016)
  • 교육부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사업 선정, 평가, 자문 위원 (2004~2009)
  • 첨단영상대학원 연구교수(2000 ~ 2003)

영화영상에 적용되는 특수효과 기술 중에서 컴퓨터를 활용한 3D 그래픽과 영상합성을 주로 연구하고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특히, 특수효과 제작전공자들과 공동으로 각종 국제 영화제에 출품한 단편 혹은 장편에서 영상 특수효과 부분을 담당하기도 했으며, 미디어 아트 전시회를 통해서 디지털 특수효과 기술을 접목하고 연구된 결과를 학술지에 등재하는 등 다양한 작품과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 '영화 속에 숨겨진 특수효과 이야기'와 'A Computer-assisted Learnig Model based on the digital game exponential reward system, TOJET, 2011' 외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국통신학회 회원위원회 간사, 교육부 지방대학혁신역량 강화사업의 평가위원 및 자문위원, 한국연구재단 문화융복합단 콘텐츠 분야 전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중국 교육부 인허가 공동학위합작과정의 중한관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며, 프로세싱 언어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기술과 인터랙티브 아트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실적
  • 월극영화의 사의적 미학 탐구 –1950~1966년 중국 멜로영화를 중심으로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pp. 310~335, Vol 60, 2020.09.30.
  • 매체융합관점에서 본 회화의 존재 방식에 대한 논의 – 반고흐 예술의 몰입체험의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지, pp. 165~180, Vol39, No.1, 2021.01.30

문재철 교수

전공분야: 영상이론(애니메이션, 영화)
이메일: jcmoon@cau.ac.kr

자세히 보기


학력
  • 연세대학교 전자공학사(1987)
  • 중앙대학교 문학석사(1995)
  • 중앙대학교 영상예술학박사(2003)
경력
  •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원(현)
  • 한국애니메이션학회 편집위원(현)
  • 영상예술학회 회장역임(2015.01-2016.12)
  • 한국영화학회 회장역임(2019.01-2020.12)
  • 서울영상진흥위원회 위원장 역임(2017.01-2018.12)
  • 한국영화진흥위원회 위원(2020.01-2022.01)
  • 전주국제영화제 넷팩상 심사위원(2012년)
  • 한국영화100년 기념사업추진회 위원(2019년)
  • 대종상 심사위원(2020, 2021년)
  •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외부 박사 지도교수(2008~2009)

영상이론을 바탕으로 영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영상적 현상을 미학적, 역사적,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세부적인 연구분야로는 영상이론, 비평, 스타일 연구, 영화사, 애니메이션 영화사, 디지털 미학, 영상문화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저서
  • 『대중영화와 현대사회』(공저), 소도, 2005
  • 『한국영화의 미학과 역사적 상상력』(공저), 소도, 2006
  • 『한국 뉴웨이브의 정치적 기억』(공저), 연세대출판부, 2007
  • 『China Animation Yearbook』(공저), China Radio & Television Publishing House, 2007
  • 『한국영화감독 7인을 말하다』(공저), 본북스, 2014
논문
  • 「한국영화에서 작가(주의)담론의 역할에 대한 연구」,《영화연구》24호, 한국영화학회, 2004.
  • 「The Meaning of Newness in Korean Cinema」, 《Korea Journal》46 , 2006.
  • 「1930년대 중반 조선영화미학의 변화에 대한 연구」, 《영상예술연구》10호, 영상예술학회, 2007.
  • 「한국애니메이션과 영화정책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한국콘텐츠학회, 2009.
  • 「60년대 중반 영화비평담론의 새로움」, 《영화연구》41호, 한국영화학회, 2009.
  • 「식민지 조선영화에 있어 근대성에의 욕망과 초민족적 경향에 대한 연구」,《영화연구》45호, 한국영화학회, 2010.
  • 「영화적 경험양식으로서 한국 시네필에 대한 연구」, 《영화연구》47호, 한국영화학회, 2011.
  • 「애니메이션의 공간재현에 대한 연구: 화면의 깊이를 중심으로」《영화연구》49호, 한국영화학회, 2011.
  •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모더니즘 회화 스타일」, 《만화애니메이션연구》33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 「하이브리드 실험영화 <디케이시아> 연구: 시공간의 해체적 재구성과 재매개를 중심으로」, 《영상예술연구》23호, 2014.
  • 「디지털 특수효과로서 카메라 무브먼트(movement)에 대한 고찰」, 《영화연구》 61호 한국영화학회, 2014.
  • 「<한공주>: 시선과 부끄러움 그리고 윤리」, 《현대영화연구》20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낭만주의적 특성에 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11권 1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 「게임서사의 활용: <인사이드 아웃>의 스토리텔링 분석」, 《애니메이션연구》12권 1호, 2016.
  • 「북한 최초의 애니메이션 작품 연구」, 《애니메이션연구》12권 3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6.
  • 「디지털 극영화 화면분할(Split Screen)의 내러티브와 스펙터클적 특성에 대하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권 1호, 한국콘텐츠학회, 2017.
  • 「스낵영상콘텐츠의 표현방식」, 《애니메이션연구》 14권 3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8.
  • 「디지털 특수효과 영상의 타블로 효과」, 《영화연구》 78호, 한국영화학회, 2018.
  • 「디스포지티브적 관점에서 본 <텐>(2002)의 우연적 리얼리티」, 《현대영화연구》15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9.
  • 「<셜리에 관한 모든것>(2013)에 나타난 움직임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14권 6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 「북한 최초의 애니메이션 작품 연구」, 《애니메이션연구》12권 3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6.
  • 「<블랙 스완>(2013)의 몰핑 기술을 통해 본 포스트 시네마의 신경-이미지적 특징」,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권 5호, 2021.
  • 「Key Frame과 Motion Capture’ 방식을 혼융한 VR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이질감을 최소화하는 방안 -VR 단편 애니메이션 <요구르트>의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64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1.
  •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레베카>의 촉각적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권 1호, 한국콘텐츠학회, 2022.
  • 「VR의 현실효과 그리고 가상과 실재의 관계: SF영화의 미래적 비전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18권2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2.
  • 「VR영화 관객의 움직임에 대한 고찰: -VR영화 <동두천>을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6호.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2.

박기웅 교수

전공분야: 영화제작, 촬영
이메일: bakkiung@cau.ac.kr

자세히 보기


학력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학사(1988년)
  • 러시아국립영화학교(VGIK) 촬영학과 학사 및 제작석사(2002년)
경력
  • 잡지사 '뿌리깊은나무-샘이깊은물' 기자(1989-1992)
  •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강사(1999-2000)
  • 전주국제영화제 디지털 부문 테크니컬 어드바이저(2000)
  • 한국영화아카데미 강사(2000-2002)
  • 한국영상자료원 디지털화 사업 평가위원(2013-2016)
  •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 수중문화유산 기초 디지털 자료 개발 자문위원(2020)

급변하는 디지털시네마 시대의 영화제작 환경에 부응하여, 프리프로덕션으로부터 포스트프로덕션에 이르는 영화 제작 워크플로우의 미학적/기술적 가능성에 대해 연구해 왔다. 특히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는 촬영/조명 장비 및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하여 영화 제작 시스템을 연구하고, 그 연구를 바탕으로 삼아 다양한 형식과 스타일의 영화들에 참여해 왔다. 눈부시게 발전하는 포스트프로덕션의 Color Science에 주목하여, 그것이 전체 영화 제작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제작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데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작품
  • 단편극영화 ‘기억 (1995)’ 연출 및 촬영
  • 단편극영화 ‘기억 (1996)’ 촬영
  • 단편극영화 ‘Angel With A Trumpet (1998)’ 촬영
    - 이탈리아 몬테카티니국제단편영화제
  • 단편극영화 ‘마지막 황혼 (1999)’ 촬영
    -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국제영화제
  • 장편다큐멘터리 ‘지역영화사-전주 (1999)’ 촬영
    - 전주국제영화제 의뢰작
  • 전주국제영화제 '디지털삼인삼색 (2000년)' 촬영
  • '거류 (2000년)' 촬영
    - 야마가타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초청
    - 여성영화제 개막작
  • 장편극영화 '버스, 정류장 (2001년)' 촬영
    - 서울국제여성영화제
  • 장편극영화 '욕망 (2002년)' 촬영
    - 로카르노국제영화제
    - 토론토국제영화제
    - 부산국제영화제
  • 장편극영화 '봄날의 곰을 좋아하세요? (2003년)' 촬영
    - 전주국제영화제
  • 장편극영화 ‘고독이 몸부림칠 때 (2004년)’ 촬영
    - 전주국제영화제
  • 장편극영화 '천상고원 (2006년)' 촬영
    - 전주국제영화제
    - 서울국제영화제
  • 장편극영화 '경의선 (2006년)' 촬영
    - 토리노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
  • 장편다큐멘터리 '물의기원 (2009년)' 촬영
    - 전주국제영화제
    - 서울독립영화제
  • 장편극영화'정 (2009년)' 촬영
    - 부산국제영화제
    - 구아나후아토국제영화제
  • 장편다큐멘터리 '아버지없는 삶 (2013년)' 촬영
    - 전주국제영화제 관객비평가상
    - 인디다큐페스티벌 개막작
  • 장편다큐멘터리 '물속의 도시 (2014년)' 촬영
    - DMZ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제작지원작
  • 장편다큐멘터리 '쉰 (2014년)‘ 촬영
    - 서울독립영화제

이창재 교수

전공분야: 영화연출
이메일: 072722@cau.ac.kr

자세히 보기


학력
  • 한양대학교 법학 학사(1994)
  • School of Art Institute of Chicago, Film MFA(2003)
경력
  • 경기영상위원회 영상위원
  • 한국콘텐츠진흥원 평가위원
  • 부산콘텐츠마켓 심사위원
  •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 심사위원
  • CJ문화재단 심사위원
  • SJM문화재단 심사위원
  • 전주국제영화제 심사위원
  • DMZ국제다큐영화제 심사위원
  • EBS국제다큐영화제 심사위원
  • EBS독립다큐관 심사위원

제일기획, 삼성영상사업단을 거쳐 시카고예술대학에서 영화 석사 과정을 마치고 2004년부터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교수로 재직. 2003년 석사졸업 장편<EDIT>으로 라이프치히국제영화제 및 뉴욕현대미술관에 초청받았고, 전주국제영화제와 테살로니카영화제 등 초청된 <사이에서>와 <길위에서>,<노무현입니다>는 각각 당해 다큐 최고흥행작으로 기록.

작품
  • 'EDIT (2003)' 장편 연출
    - 야마카타영화제
    - 라이프치히국제영화제
    - 뉴욕현대미술관
  • '미국전쟁략사 (2003)' 단편극영화 연출
    - 전주국제영화제
    - 서울독립영화제
  • '사이에서 (2006)' 연출
    - 전주국제영화제
    - 테살로니키국제영화제
    - 대만국제다큐영화제
  • 중앙대-KM컬처스 장편프로젝트(2008) 기획
    - 부산국제영화제 외
  • '길 위에서 (2012)' 연출
    - 전주국제영화제
    - 서울독립영화제
  • '목숨 (2014)' 연출
    - 부산국제영화제 외
  • '에필로그 (2015)' 연출
    - DMZ 다큐멘터리영화제 외
  • '노무현입니다 (2017)' 연출
    - 전주국제영화제 외
  • 제40주년 부마민주화항쟁 기념식(2019) 총연출
저서
  • 길 위에서 (북라이프)
  • 후회없이 살고 있나요 (수오서재)
  • 노무현이라는 사람 (수오서재)

김지훈 교수

전공분야: 영화이론, 미디어이론, 디지털 시네마, 영화와 현대예술, 실험영화 및 비디오, 다큐멘터리, 스크린 문화
이메일: flaneur7@cau.ac.kr

자세히 보기


학력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학사(1998년)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영화이론전공 석사(2004년)
  • Department of Cinema Studies, New York University 박사(2011년)

영화연구, 미디어연구, 현대예술비평을 교차하는 방법론들을 통해 포스트-시네마 시대의 영화 및 시각예술과 문화의 미학과 존재론을 설명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실험영화 및 비디오, 갤러리 영상 설치작품, 디지털 예술, 실험적 다큐멘터리, 현대영화이론 및 매체미학 등에 대한 논문들은 Screen, Film Quarterly, Millennium Film Journal, Animat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Asian Cinema 등의 저널들 및 Global Art Cinema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Taking Place: Location and the Moving Imag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1)등의 논문집에 출간되었다.
첫 번째 저작 『필름과 비디오, 디지털 사이: 포스트-미디어 시대의 하이브리드 무빙 이미지들 (Between Film, Video, and the Digtial: Hybrid Moving Images in the Post-media Age)]』은 International Texts in Critical Media Aesthetics 시리즈로 Bloomsbury Academic에서 2016년 출간되었다. 현재 두 권의 저서 『Documentary's Expanded Fields: New Media, New Platforms, and the Twenty-First-Century Documentary』와 『Post-verité' Turns: Korean Documentary Cinema in the 21st Century』를 작업 중이며 ‘시각매체비교연구', '디지털미디어연구', '실험영화와 비디오아트', '영화이론의 이해'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논문 및 기고문, 강의계획서는 chungang.academia.edu/JKIM 참고.


최정인 교수

전공분야: 영화제작, 시나리오
이메일: mono@cau.ac.kr

자세히 보기


학력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영화학과 연출 전공 학사(1997)
  • 중앙대학교 대학원 영화학과 영화학 전공 석사(1999)
  •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콘텐츠시나리오 전공(박사 수료)
경력
  • 중앙대, 광운대, 한신대, 협성대, 숭의여대 강사(2000~2007)
  •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사업단 연구원(2004~2007)
  •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교수(2007~2021)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영화영상미디어 전공 주임교수(2010~2021)
  • 한국미디어콘텐츠학회 부회장
  • 스토리텔링 연구소 상임연구원
  • 영상심리 연구소 상임연구원
  • 서울아시아예술축제 운영위원
  •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심사위원
  • 아시아대학영화제 집행위원
  • 안양국제청소년영화제 집행위원
  • 서울국제초단편영화제 집행위원/심사위원
  • 홍성국제단편영화제 집행위원
  • 대종상영화제 예심 심사위원
  • 한국연구재단 융복합단 연구 심사위원
  • 국립 현충원 홍보영상 시나리오 자문위원
  • 남한산성 문화관광사업단 심사위원/자문위원
  • 나주교육진흥재단 영상교육 분야 자문위원
  • 산림청 국립 산림치유원 전시시설 영상분야 자문위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방송콘텐츠 부문 전문가위원
  • 세종대 시나리오 창작대회 심사위원
  • 서울시 지방공무원 채용 출제위원

다큐멘터리와 극영화 기획과 프로듀싱, 시나리오 및 각색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시대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 영화를 비롯한 영상콘텐츠의 대중성과 산업 연구를 지향하고 있다. 영화 기획과 제작을 위한 사회, 세대, 트랜드, 스크립 분석과 함께 대중적 전환, 드라마, 융합 콘텐츠, VR영화 등 뉴미디어 콘텐츠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작품
  • 'Break Time(2004)' 각본/감독
  • '집, 나가라(2005)' 각본/감독
  • 드라마 '초혼(2008)' 각본
  • 드라마 '맛있는 학교(2010)' 각본
  • 장편 다큐멘터리 '야간비행(2012)' 프로듀서
  • SBS특선 다큐멘터리 4부작 '아시아의 전쟁영웅(2015)' 콘텐츠 기획
  • 장편 다큐멘터리 '흑산(2019)' 프로듀서
  • VR영화 '웨딩(2019)' 기획
  • 극영화 '내일은(2020)' 프로듀서
  • 장편 다큐멘터리 '우드헤디(2020)' 프로듀서
  • 장편 다큐멘터리 '청춘선거(2021)' 프로듀서
논문
  • '한국영화의 신파성에 관한 연구(2003)', 대중서사학회
  • '공연영상 차세대 인재육성 융합교육 사례(2007)',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영상문화콘텐츠 융합교육의 현황과 방향(2008)',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数字时代的电影敎育 - 韩国电影敎育的经验与思考', 중국 CSCCI
  • 『现代传播(Modern Communication)』, 2015年 3基
  • '영상무용: 표현의 확장성과 콘텐츠로서의 가능성 연구(2015)', 대한무용학회
  • '영화연기 연출을 위한 교육의 현실과 대안(2015)', 한국연기예술학회
  • '한국드라마의 지형도 변화 연구(2016)', 중국 전매대 문화콘텐츠학술대회
저서
  • 『배우 연기 연출(2009)』, 중앙대학교 출판부

조희영 교수

전공분야: 영상정책 및 기획
이메일: joyce56@cau.ac.kr

자세히 보기


학력
  •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2000)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석사(2003)
  • 한국영화아카데미(KAFA) 프로듀싱 전공 졸업(2007)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박사(2019)
경력
  • CJ CGV 프로그램팀 (2008-2009)
  • CJ 엔터테인먼트 영화투자팀 (2009-2012)
  • 타임와이즈 인베스트먼트 콘텐츠투자본부 수석심사역 (2012-2016)
  • 부산아시아영화학교(AFiS) 교수(2017-2020)
  • 현 (재)한국영화아카데미(KAFA) 발전기금재단 이사
  • 2008 영화진흥위원회 HD영화제작지원사업 심사위원
  • 2008 영화진흥위원회 하반기 아트플러스시네마네트워크 개봉작선정지원사업 심사위원
  • 2013 영화진흥위원회 기획개발투자 표준계약서 개발 자문위원
  • 2015 한국콘텐츠진흥원 단비 K-CT 프로젝트 지원사업 심사위원
  • 2016 영화진흥위원회 2분기 장편독립영화 후반작업 기술지원사업 심사위원
  • 2016 부산영상위원회 전문위원
  • 2017 부산영상위원회 부산지역 영화제작 지원사업 심사위원
  • 2018 강원영상위원회 영화 기획∙개발지원사업 심사위원
  • 2019 FLY Film Lab(ASEAN-ROK Script Lab) 피칭 멘토
  • 2020 부산국제단편영화제 예심 심사위원
  • 2020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피치&캐치 심사위원
  • 2020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It Project 예심 심사위원
  • 2020 영화진흥위원회 포스트코로나 영화정책추진단 수석연구원
실적
  • 국내 영상콘텐츠에 적용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웹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8.
  • '세이브더캣’ 패러다임을 활용한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MCU) 영화 서사 구조 분석: 아이언맨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20.
  • '자이언트 펭TV' 스토리텔링 전략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의 가능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20.
  •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MCU) ‘인피니티 사가’ 서사 구조 분석: 캡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2020.
  • 한국영화 제작자·감독·배우 네트워크 분석: 2013-2019 개봉작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20.
저서
  • 『엔터테인먼트 경영·경제학: 엔터테인먼트 사이언스 I』(공역), 한울아카데미, 2021.
  • 『엔터테인먼트 경영·경제학: 엔터테인먼트 사이언스 II』(공역), 한울아카데미, 2021.
  • 『엔터테인먼트 경영·경제학: 엔터테인먼트 사이언스 III』(공역), 한울아카데미, 2021.



명예 교수

이승구 교수

전공분야: 영화이론, TV, 사진, 영화기술

자세히 보기


학력
  •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학사(1968)
  • Columbia University, Film Studies 석사(1979)
경력
  • 영화평론가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명예교수
  •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교수 역임
  • 한국영화학회 회장 역임
  • 영상예술학회 회장 역임
  • 영화진흥공사 자문위원 역임
  • 영화수입 심의위원, 시나리오 심의위원 역임 등
  • 올림픽 공식영화 제작 자문위원 역임
  • 영상자료원 자문위원 역임
  • 대종상, 백상예술대상 심사위원 역임

주진숙 교수

전공분야: 영화이론, 영화비평

자세히 보기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시청각교육학과 학사(1976)
  •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신문방송학 전공 석사(1978)
  • The University of Iowa, Film Studies 석사(1984)
  •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Radio-Film-TV 박사(1989)
경력
  • 한국영상자료원 원장
  •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명예교수
  •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이사
  •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교수 역임
  •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장 역임
  • 영상예술학회 회장 역임

이충직 교수

전공분야: 영화정책 및 기획

자세히 보기


학력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영화학 학사(1983)
  • 중앙대학교 대학원 영화학 석사(1985)
  • École Supérieure de Réalisation Audiovisuelle 졸업(1988)
경력
  •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역임
  • 한국영상자료원 이사 역임
  • 부산국제영화제 심사위원 역임
  • 서울드라마어워즈 심사위원 역임
  • 전주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역임



겸임 교수

배경민 교수

전공분야: 영화이론, 영상 정책 및 기획
담당과목: 영화산업론, 문화예술과 사회, 영상정책세미나
이메일: vadomori@naver.com

자세히 보기


학력
  •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2000)
  •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극영화과 문학석사 영화이론 전공(2002)
  •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극영화과 문학박사 영화이론 전공(2008)
경력
  • 미쟝센단편영화제 프로그래머 역임
  • 영화진흥위원회 영상산업정책연구소 연구원 역임
  • 중앙대학교 박사후과정 전임연구원(디지털시대의 이미지 존재론 연구) 역임
  •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도시추진단 전문위원 역임
  • '씨네 21' 영화평론상 우수상 수상, 영화진흥위원회 우수논문상 수상

유진희 교수

전공분야: 미디어 플랫폼 산업 및 전략, 마케팅, ICT
담당과목: 뉴미디어 영상 산업
이메일: jhwhjn2@gmail.com

자세히 보기


학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신문방송학과 학사
  •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박사 수료 (ICT 콘텐츠)
경력
  • 현, (주)플래티어 마케팅실 실장
  • (주)필콘미디어 & 미디어캔 사업전략실 부장 역임
  • (사) 한국엠씨엔협회 사무국장 역임
  • 소니픽쳐스 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코리아 브랜드 마케팅/홍보 총괄 역임
  • Pepsi International 제품별 브랜드 마케팅 ATL/BTL, GM Daewoo 런칭 프로모션 ATL 담당 역임
  • 전, EBS 파닉스헌터 디지털콘텐츠사업 자문위원 (2018)
  • 전, 국토교통부 홍보 자문위원 (2017)
  • 전, KBS 1라디오 <성공예감 김원장입니다> 고정 패널 (2017~2018)
  • 전,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지식캠퍼스본부 미디어파트 자문위원 (2017~2018)
  • 한국외국어대학교 출강 (2016)

장서희 교수

전공분야: 영화정책 및 기획, 문화법
담당과목: 영상산업과 법률
이메일: lawnculture@naver.com

자세히 보기


학력
  •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부 학사(2000)
  •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학사(2006)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영화영상이론 전공 석사(2009)
  •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무석사(2012)
경력
  • 현) 법률사무소 이헌 변호사
  • 영화진흥위원회 변호사(2017~2020)
  • 법무법인 율석 변호사(2016~2017)
  • 법무법인 나눔 변호사(2013~2016)
  • 법무법인 도움 변호사(2012~2013)
  •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출강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이사, 한국영화학회 대외협력 이사 역임
저서
  • 『할리우드 독점전쟁』, 『누가 문화자본을 지배하는가(공저)』, 『필름느와르 리더(공역)』

정종화 교수

전공분야: 영화이론
담당과목: 한국영화사 연구
이메일: flicks74@gmail.com

자세히 보기


학력
  •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과 문학사(1999)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영상예술학 석사(2002)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영상예술학 박사(2012)
경력
  • 현 한국영상자료원 학예연구팀 팀장
  •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주요 JSPS외국인특별연구원(2014-2016)을 역임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식민지기 조선영화 및 한일 비교영화사이다.
저서
  • 『한국영화 100년사-그 탄생부터 글로벌한 전개까지』(아카시쇼텐, 2017)
  • 『조선영화라는 근대-식민지와 제국의 영화교섭사』(박이정, 2020) 등

장병원 교수

전공분야: 영화이론
담당과목: 작품분석 2
이메일: jangping@naver.com

자세히 보기


학력
  • 동국대학교 국어교육학과 학사(1994)
  • 중앙대학교 대학원 영하학과 이론 석사(2000)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박사(2012)
경력
  • ‘주간’ 씨네21 평론(2009~)
  • 격월간 ‘필로’ 평론(2020~)
  • 한국영상자료원 연재: 「한국영화, 스타일을 만든 순간들」 평론(2021~)
  • 영화진흥위원회 발간 ‘KOREA CINEMA TODAY’ 평론(2008~)
  • 영화진흥위원회 월간 ‘한국영화’ 평론(2010~)
  • 들꽃영화상 심사위원(2020)
  • 서울국제대안영상페스티벌 심사위원(2020)
  • 서울국제초단편영화제 심사위원(2020)
  • 마르세이유국제영화제(FID Marseille, 프랑스) 페스티벌 프레젠테이션&FID Campus(2019)
  • 쿠리치바국제영화제(브라질) 심사위원(2018)
  • 발디비아국제영화제(FIC Valdivia, 칠레) 심사위원(2017)
  • 마르델플라타국제영화제(아르헨티나) 심사위원(2015)
  • 시네마디지털서울 영화제 심사위원(2009)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예심위원(2009)
  • 서울독립영화제 심사워윈(2008)
저서
  • 공동, 『시네마테크 총서4 : 에릭 로메르』, 문화학교서울(2001)
  • 공동, 『시네마테크 총서5 : 폭력의 엘레지 스즈키 세이준』, 문화학교서울(2001)
  • 공동, 『시네마테크 총서 6 : 감독 장 르누아르』, 문화학교서울(2001)
  • 공동, 『영화사전』, media 2.0(2004)
  • 공동, 『시네마테크 총서 12 : PIER PAOLO PASOLINI』, 문화학교서울(2007)
  • 장병원, 『Korean Film Directors ‘LEE Myung-Se’』, Seoul Selection(2008)
  • 공동, 『Korean Film Directors ‘Rookie-Directors1’』, Seoul Selection(2008)
  • 장병원, 『영화로 세상읽기』, 세상여행(2011)
  • 공동, 『위대한 가족영화 100』, 여성신문사(2011)
  • 공동, 『김기덕 홍상수』, 본북스(2015)
  • 공동,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만나는 중국영화 2015』, 세웅(2015)
  • 공동, 『영화인이 말하는 영화인』, 부키(2017)
  • 공동, 『21세기 한국영화 : 웰메이드 영화에서 K-시네마로』, 엘피(2020)
  • 공동, 『짧은 영화 긴 이야기2 : 단편영화에 대한 여덟 가지 질문들』, 테오리아(2021)

조세영 교수

전공분야: 영화연출
담당과목: 다큐멘터리 / 사운드연출
이메일: penguingogo@naver.com

자세히 보기


학력
  •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영상예술학 석사(2016)
  • 동국대 영상대학원 영화영상제작학 박사 수료(2022)
경력
  • 한국독립영화협회 성평등위원회위원장(2016)
  • 한국독립영화협회 성평등위원회 위원(2013~2015)
  • 인디다큐페스티발 국내프로그래머(2014)
  • 한국독립영화협회 다큐멘터리분과 중앙운영위원(2011~2013)
작품
  • 장편 다큐멘터리 (제작 중) 연출
  • 장편 다큐멘터리 <수궁>(제작 중) 편집감독
  • 단편영화 <갈매기바>(2020) 편집감독
  • 단편영화 <동상이몽>(2020) 프로듀서
  • 국제 공동제작 다큐멘터리 (2018) 프로듀서 및 편집
  • 단편영화 <겨울은 겨울>(2017) 조연출
  • 단편 극영화 <물물교환>(2015) 연출
  • 극장개봉 다큐멘터리 <자, 이제 댄스타임>(2014) 연출
  • 다큐멘터리 <파티 51>(2014) 촬영
  • 다큐멘터리 <춤추는 숲>(2012) 촬영
  • 다큐멘터리 <왕자가 된 소녀들>(2012) 촬영
  • 다큐멘터리 <레드마리아>(2012) 촬영
  • 다큐멘터리 <잼다큐 강정>(2011) 촬영
  • 다큐멘터리 <모래>(2010) 촬영
  • 다큐멘터리 <버라이어티 생존토크쇼>(2009) 연출
  • 다큐멘터리 <바람이 불어오는 곳>(2008) 촬영
  • 다큐멘터리 <필승 연영석>(2007) 조연출
  • 다큐멘터리 <쇼킹패밀리>(2006) 촬영감독 및 출연
  • <돌속에 갇힌 말>(2001) 조연출

황인준 교수

전공분야: 영화디자인
담당과목: 프로덕션디자인
이메일: kino6802@naver.com

자세히 보기


학력
  •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학사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영화제작 석사
경력
  •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프로덕션디자인 강사
  • <항거:유관순 이야기>(2019) 미술
  • <사라진 밤>(2018) 미술
  • <의형제>(2010) 미술
  • <라디오스타>(2006) 미술
  • 프로덕션 디자인 무브먼트 설립(2003)
  • <유령>(1999)
논문
  • 장편영화<항거:유관순 이야기>제작보고서(2021)
저서
  • 황인준, 『영화미술과 프로덕션디자인』, 아모르문디(2021)

전공소개

  • 전공소개
    • 영화영상이론
    • OTT·콘텐츠기획/정책/비즈니스
    • 영화영상제작
  • 교과소개
    • 영화영상이론
    • OTT·콘텐츠기획/정책/비즈니스
    • 영화영상제작
  • 교수소개
  • Contact us

(0697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아트센터(301관) 120호 영상학과 영화전공     Tel. 02-820-5415
© COPYRIGHT 2018 CHUNG-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