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충직 교수
전공분야: 영화정책 및 기획
학력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영화학 학사(1983)
- 중앙대학교 대학원 영화학 석사(1985)
- École Supérieure de Réalisation Audiovisuelle 졸업(1988)
경력
-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 한국영상자료원 이사
- 부산국제영화제 심사위원
- 서울드라마어워즈 심사위원
- 현 전주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의 문화영화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고 1988년 프랑스의 영상/사운드 연출학교인 ESRA에서 "오디오비쥬얼 연출학위"를 취득. 영화연출에 관련된 논문 '타비아니형제의 사운드 사용에 대해서, 1989', '줌과 트랙의 결합에 의한 미학적 효과, 1990', '한국영화의 사운드, 1993', '홍상수 감독의 영화적 형식변화에 대한 연구, 2009'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연출작품으로는 전주국제영화제에 초청상영된 영화 '늪을 걷다, 2002'가 있으며 제작, 슈퍼바이징 프로듀서로 참여한 작품은 '도화지, 2008 부산국제영화제', '어안, 2009 뉴욕 트라이베카 국제영화제', '여기보다 어딘가에, 2008 부산국제영화제', '소규모 아카시아밴드 이야기, 2009 전주국제영화제' 등이 있다. 제작투자로 참여한 작품은 '우리손자 베스트, 2016', '초행, 2017' 등의 작품이 있다.

장성갑 교수
전공분야: 미디어아트 영상기술, 특수효과기술
학력
-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1988)
-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정보제어전공(1990)
-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박사 영상정보전공(2000)
영화영상에 적용되는 특수효과 기술 중에서 컴퓨터를 활용한 3D 그래픽과 영상합성을 주로 연구하고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특히, 특수효과 제작전공자들과 공동으로 각종 국제 영화제에 출품한 단편 혹은 장편에서 영상 특수효과 부분을 담당하기도 했으며, 미디어 아트 전시회를 통해서 디지털 특수효과 기술을 접목하고 연구된 결과를 학술지에 등재하는 등 다양한 작품과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 '영화 속에 숨겨진 특수효과 이야기'와 'A Computer-assisted Learnig Model based on the digital game exponential reward system, TOJET, 2011' 외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국통신학회 회원위원회 간사, 교육부 지방대학혁신역량 강화사업의 평가위원 및 자문위원, 한국연구재단 문화융복합단 콘텐츠 분야 전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중국 교육부 인허가 공동학위합작과정의 중한관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며, 프로세싱 언어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기술과 인터랙티브 아트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현승 교수
전공분야: 영화연출
학력
- 홍익대학교 시각디지인학과 학사
- 고려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석사
- 동국대학교 영화학과 박사
경력
- (사)영화인 회의 사무총장
- 디렉터스 컷 대표
- 전 영화진흥위원회 부위원장
- 전 미쟝센 단편영화제 집행위원장
- 전 경기영상위원회 위원장
작품
- '그대 안의 블루 (1992년)' 연출
- 제 4회 춘사영화제 신인감독상
- 제 14회 청룡영화상 신임감독상 - '네온 속으로 노을 지다 (1995년)' 연출
- '시월애 (2000년)' 연출
-2001 스케르미 다모레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 '비트윈 (2002년)' 연출
- '여섯 개의 시선 (2003년)' 제작 총지휘
- '푸른소금 (2011년)' 연출
저서
- 프로덕션 디자인의 이해
- 10인의 연출 수업

문재철 교수
전공분야: 영상이론(애니메이션, 영화)
학력
- 연세대학교 전자공학사(1987)
- 중앙대학교 문학석사(1995)
- 중앙대학교 영상예술학박사(2003)
경력
-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원.
-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애니메이션학회 등 영상 관련 학회의 편집위원으로 활동
- 영상예술학회 회장(2015~2016).
- 한국영화학회 회장(2018~현재).
- 서울영상진흥위원회 위원장(2017~2018)
-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외부 박사 지도교수(2008~2009)
영상이론을 바탕으로 영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영상적 현상을 미학적, 역사적,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세부적인 연구분야로는 영상이론, 비평, 스타일 연구, 영화사, 애니메이션 영화사, 디지털 미학, 영상문화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박기웅 교수
전공분야: 영화제작, 촬영
학력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학사(1988년)
- 러시아국립영화학교(VGIK) 촬영학과 학사 및 제작석사(2002년)
경력
- 잡지사 '뿌리깊은나무'에서 기자 및 프로듀서
- 전주국제영화제 디지털슈퍼바이저
작품
- 전주국제영화제 '디지털삼인삼색 (2000년)' 촬영
- '거류 (2000년)' 촬영
- 야마가타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초청
- 여성영화제 개막작 - '버스, 정류장 (2001년)' 촬영
- '욕망 (2002년)' 촬영
- 로카르노국제영화제
- 토론토국제영화제
- 부산국제영화제 - '봄날의 곰을 좋아하세요? (2003년)' 촬영
- '천상고원 (2006년)' 촬영
- 전주국제영화제
- 서울국제영화제 - '경의선 (2006년)' 촬영
- 토리노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 - '물의기원 (2009년)' 촬영
- 전주국제영화제
- 서울독립영화제 - '정 (2009년)' 촬영
- 부산국제영화제 - '아버지없는 삶 (2013년)' 촬영
- 전주국제영화제 관객비평가상
- 인디다큐페스티벌 개막작 - '물속의 도시 (2014년)' 촬영
- DMZ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제작지원작
아날로그 필름과 디지털 시네마를 아우르며, 촬영 및 조명의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하여 영화 제작 시스템을 연구/개발하고, 그 연구를 바탕으로 삼아 다양한 형식과 스타일의 영화들을 제작하고 있다. 디지털 시네마의 경우 시시각각 새로운 기술 및 워크플로우가 생성되고 있으므로, 그 기술 및 워크플로우를 학생들과 함께 연구하고 실제 영화 제작 작업에 적용하고 응용하는 일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오늘날 하나의 기술적 트랜드를 형성해가고 있는 3D 입체영화 및 UHD 영화에 대한 기술적/미학적 연구 및 응용을 비판적으로 수행하며, DCP등 상영 및 배포 포맷에 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이창재 교수
전공분야: 영화연출
학력
- 한양대학교 법학 학사(1994)
- School of Art Institute of Chicago, Film MFA(2003)
경력
- 경기영상위원회 영상위원
- 한국콘텐츠진흥원 평가위원
- 부산콘텐츠마켓 심사위원
-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 심사위원
- 전주국제영화제 심사위원
- DMZ 국제다큐영화제 심사위원
- EBS 국제다큐영화제 심사위원
작품
- 'EDIT (2003)' 장편 연출
- 야마카타영화제
- 라이프치히국제영화제
- 뉴욕현대미술관 - '미국전쟁략사 (2003)' 단편극영화 연출
- 전주국제영화제
- 서울독립영화제 - '사이에서 (2006)' 연출
- 전주국제영화제
- 테살로니키국제영화제
- 대만국제다큐영화제 - '길 위에서 (2012)' 연출
- 전주국제영화제
- 서울독립영화제 - '목숨 (2014)' 연출
- 부산국제영화제 - '노무현입니다 (2017)' 연출
- 전주국제영화제
저서
- 길 위에서 (북라이프)
- 후회없이 살고 있나요 (수오서재)
- 노무현이라는 사람 (수오서재)

민환기 교수
전공분야: 영화/다큐멘터리 연출
학력
- 고려대학교 금속공학 학사
- 중앙대학교 영화학 석사
- 한국 영화아카데미 졸업
-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Live Action MFA
작품
- 단편극영화 'Here to Here'
- 실험영화 'Los Angeles: A graveyard' '오름 투어, 2014
- 'play it again, 2004' 장편 다큐멘터리
-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 이야기 (2010)' 장편 다큐멘터리
- '불안 (2012)' 장편 다큐멘터리
- 제17회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앵글 부문 비프메세나상 수상 - '뜻밖의 수업 (2014)' 장편 다큐멘터리
- 제6회 DMZ국제다큐영화제

김지훈 교수
전공분야: 영화이론, 미디어이론, 디지털 시네마, 영화와 현대예술, 실험영화 및 비디오, 다큐멘터리, 스크린 문화
학력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학사(1998년)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영화이론전공 석사(2004년)
- Department of Cinema Studies, New York University 박사(2011년)
영화연구, 미디어연구, 현대미술비평을 교차하는 방법론들을 통해 포스트-시네마 시대의 영화 및 시각예술과 문화의 미학과 존재론을 설명하는 작업들을 해 오고 있다. 저서로 『Between Film, Video , and the Digital : Hybrid Moving Images in the Post-media Age 』 (Bloomsbury, 2018/2016), 번역서로 『북해에서의 항해』 (2017) , 『질 들뢰즈의 시간기계』 (2005)가 있고 히토 슈타이얼의 『스크린의 추방자들』 개정판(2018)의 감수와 해제를 맡았다. 실험영화 및 비디오, 갤러리 영상 설치 작품, 디지털 영화 및 예술, 현대 영화이론 및 미디어연구 등에 대한 논문들을 Screen, Cinema Journal, Film Quarterly, Millennium Film Journal, Animat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Camera Obscura 등의 저널들 및 Global Art Cinema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Taking Place: Location and the Moving Imag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1)등의 논문집, 여러 국내 학술지에 출간했으며 『씨네 21』, 『아트인컬처』 등의 대중저널 및 다수의 전시 카탈로그에 비평문을 기고해 왔다. 현재 두 권의 저작 『Documentary's Expanded Fields: New Media, New Platforms, and the Documentary』와 『Post-vérité Turns: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in the 21st Century』를 작업 중이며, '시각매체비교연구', '디지털미디어연구', '실험영화와 비디오아트', '영화이론의 이해'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